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라면 코너를 살펴보는 시민 모습. / 뉴스1
국내라면 업계 1위 농심이 라면과 스낵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오뚜기와 삼양식품 등 다른 라면업체들도 영향 받을지 주목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오는 17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의 가격을 조정하고, 총 56개 라면과 스낵 17개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 이번 가격 인상은 지난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만이다.
주요 제품의 인상폭은 출고가격 기준으로 신라면 5.3%, 너구리 4.4%, 안성탕면 5.4%, 짜파게티 8.3%, 새우깡 6.7%, 쫄병스낵 8.5% 등이다.
제품가 인상은 라면 원가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팜유와 전분류, 스프원료 등의 구매비용이 오른 데다 평균 환율과 인건비 등 제반비용 역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농심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원가절감과 경영효율화를 추진하는 등 인상압박을 견뎌 왔지만, 원재료비와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가격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경영여건이 더 악화되기 전에 시급하게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농심의 지난해 실적은 부진했다. 환율 상승에 따른 재료비 증가 등으로 지난해 분기별 영업이익율은 계속 떨어졌고, 4분기에는 1.7%를 기록하기도 했다.
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1% 감소한 1631억원을 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4387억원으로 0.8% 늘었으나 당기순이익은 8.1% 감소한 1576억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식품 가격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했고,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뛰어넘어 부담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원재료비와 환율이 오르면서 가격 인상을 검토하거나 실제로 인상하는 기업들이 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 선두 농심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다른 업체들도 인상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오뚜기·삼양식품 등 다른 업체들은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 말을 아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가격인상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오뚜기 관계자도 "현재 상황에서 라면 가격 인상은 논의된 바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