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탑재 안테나 4개를 최대 8개까지 확장하는 기술 개발
온디바이스 AI 활용 가능성 확인
SKT 연구원과 홍 교수팀이 포스텍 연구실에서 스마트폰 안테나 확장 기술을 시험하는 모습
SK텔레콤은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6일 전자전기공학과 홍원빈 교수팀과 스마트폰에 내장된 안테나 개수를 늘려 통신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주파수 환경과 스마트폰 크기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에 통상적으로 탑재되는 4개의 안테나를 최대 8개까지 늘려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특히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번 기술은 100만가지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다양한 변수에 대응이 가능하다. 이용자들의 자세와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안테나 성능 문제 등에 대해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드웨어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중 안테나 확장 시도와 달리 이번 연구는 AI 를 활용했다. 실증 단계에서는 AI를 활용해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안테나 수가 많아질수록 상호 간섭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온디바이스 AI가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된 실증에서 글로벌 통신 계측 장비 회사인 ‘안리쓰’의 측정 장비를 활용해 기존 스마트폰과 동일한 조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SKT는 이번 기술을 고도화해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 표준화를 추진하는 한편, 나아가 칩셋, 부품사,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본부장은 “온디바이스 AI로 스마트폰 성능과 통신 기술이 한 단계 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선행 기술 연구를 통해 6G, AI 인프라 핵심 기술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원빈 포스텍 교수는 “안테나의 수는 통신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임에도 여러가지 현실적 제약으로 기술 발전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온디바이스 AI와 안테나 확장 기술의 융합으로 기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 - 디지틀조선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