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5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시장 전망 크게 밑돌아
IT 시장 침체 속 메모리 수익 악화…파운드리는 적자 지속한 듯
삼성전자 서초사옥 /뉴스1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에 6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시장 전망을 크게 밑돌았다. 파운드리 적자 지속 등 반도체 사업 전반이 경쟁력을 회복하지 못하면서 '어닝 쇼크'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에 매출 75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이는 전분기(매출 79조1000억원, 영업이익 9조1800억원)와 비교해 매출은 5.18%, 영업이익은 29.19% 감소한 실적이다. 전년 동기(매출67조7800억원, 영업이익 2조8200억원) 대비 매출은 10.65%, 영업이익은 130.50%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당초 시장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표다. 금융정보업체 FN가이드의 4분기 삼성전자의 실적 컨센서스(전망치)는 매출 77조6289억원, 영업이익 8조2105억원이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00조800억원, 32조7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매출은 15.89%, 영업이익은398.17% 늘었다.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은 IT 시장의 수요 침체 영향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반도체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 시대에 수요가 견조한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경쟁력 회복 시그널이 나오지 않았고, 시스템 반도체 사업도 터널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3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메모리는 가격 하락이 지속한 가운데 고객사의 재고 조정 영향으로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비메모리는 파운드리 팹 가동률 하락과 일회성 비용 반영으로 2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디스플레이(SDC)도 당초 전망보다 수익이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점유율 확대, 고정비 증가 등이 겹치면서 1조원 가량의 영업이익에 그친 것으로 예상된다.
MX/네트워크 사업부문은 스마트폰의 계절적 비수기와 재고조정 영향 속에 약 3조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TV·가전사업은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 비용이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와 유사한 8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삼성전자의 사업부별 4분기 세부 실적은 오는 31일 발표될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 - 디지틀조선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