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틀조선TV 유튜브 바로가기

BPA, 2021년도 10대 핵심성과 선정 …"세계 최고로 만들겠다"

윤요섭 기자 ㅣ ys501@chosun.com
등록 2021.12.23 13:02

부산항 신항 세계 최고의 글로벌 물류허브
북항재개발사업 구역 해양관광·문화·비즈니스 중심지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물동량은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해 2021년 목표치 2천2백7십만TEU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역대 최대치로, 부산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를 일렬로 세우면 길이가 지구를 3번 반을 도는 것에 해당한다. 위기 속에서 세계 제2위 환적항만이자, 글로벌 허브항만으로서의 부산항이 가진 저력을 보여주었다.


부산항만공사(BPA)는 ‘2021년 10대 핵심 성과’를 선정해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강부원 BPA 경영본부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한 해를 보냈지만, 의미있는 성과들이 많았다”고 평가하고 “부산항만공사 중점업무 과제별 성과를 기준으로 10대 핵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BPA가 자체 건립한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에 물류센터를 개장하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는 현지 항만공사와 물류센터 운영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사업 진출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한해였다. 

 

BPA는 해외사업의 안정적인 운영과 신규사업 발굴을 통해 국내기업의 수출지원 및 부산항 물동량 창출에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안전하고 깨끗한 항만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도 큰 성과를 거둬 2020년도 부산항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약 48% 감축(2019년 대비), 정부 목표(2022년까지 45% 감축)를 조기 달성했다. 


BPA는 국제기구와 정부의 항만 미세먼지 규제 강화 정책에 맞춰 하역장비 에너지를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고 선박 저속운항프로그램 운영 등의 노력으로 부산항 미세먼지를 더욱 줄여나갈 방침이다. 


2022년에는 중대재해처벌법(‘22.1)과 항만안전특별법이 시행(‘22.8)됨에 따라 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BPA는 근로자 중대재해 예방을 위하여 인력과 예산을 증대해 투입하고, 항만 안전시설 우수사례 발굴 및 현장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관계기관 협력을 위해 안전상설협의체를 바탕으로 고용노동부, 부산청, 운영사 등과 합동으로 현장의 안전 위해 요소 발굴 및 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민관합동투자를 통한 항만하역 작업 안전성 증진' 사례는 ‘BPA 혁신 페스티벌’에서 국민 2700여명이 참가한 온라인 국민심사 등을 통해 BPA 혁신과제 중 1등을 차지했다. 


부산항만공사가 선정한 10대 핵심성과를 모두 살펴보면, 


△ 2021년 물동량 2,270만TEU 돌파, △첫 해외 물류센터(로테르담) 개장, △민관협력 안전관리 추진, △부산항 초미세먼지 감축, 정부 목표 2년 조기 달성(47.58% 감축), △18년 만에 국산 하역장비 부산항 신항 설치, △항만 특화 R&D 사업 추진 △‘K-방역’으로 감천항 역대 최대 냉동어획물 120만톤 처리, △국내 최초 항만재개발사업 공정율 90% 달성, △항만 공기업 최초 ESG경영 선포, △고객과 환경 니즈 부합형 항만 적기 조성 등이다. 


강준석 BPA 사장은 "부산항 신항은 글로벌 선사 얼라이언스의 물량 유치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친환경 스마트항만으로 조성해 세계 최고의 글로벌 물류허브로 만들겠다"며, "북항재개발사업 구역은 세계 최고의 친수공간이자 해양관광·문화·비즈니스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신기사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산업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