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새해들어 식품, 침대 등 생활물가가 줄줄이 오르고 있다. 빙그레와 파리바게뜨, 롯데웰푸드가 일부 먹거리 가격 인상을 발표했고, 침대·가구 업체 지누스, 신세계까사도 주요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섰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다음 달부터 커피·과채음료 및 아이스크림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추진한다.
인상 제품은 아카페라 사이즈업 350ml의 소비자가가 2400원에서 2600원으로, 따옴 235ml는 2400원에서 2700원으로 오를 전망이다. 아이스크림 제품에선 더위사냥 등이 800원에서 1000원으로, 슈퍼콘·붕어싸만코 등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오른다. 자회사 해태아이스의 부라보콘·시모나 등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오를 예정이다.
SPC 파리바게뜨는 오는 10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
인상 품목은 빵 96종, 케이크 25종 등으로 평균 인상폭은 5.9%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23년 2월 이후 2년만이다.
주요 인상 품목은 ▲'그대로토스트'가 3600원에서 3700원(2.8%) ▲'소보루빵'이 1500원에서 1600원(6.7%) ▲'딸기 블라썸 케이크'가 1만9000원에서 1만9900원(4.7%) 등이다.
롯데웰푸드도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 등 건·빙과 제품 26종의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
대표적으로 가나마일드(70g)가 2800원에서 3400원으로 600원, 크런키(34g)가 1400원에서 1700원으로 300원 오른다. 초코 빼빼로(54g)는 1800원에서 2000원으로, 몽쉘 오리지널(12입)은 6600원에서 700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빙과 대표제품인 월드콘과 설레임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약 16.6% 오른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6월에도 초코 빼빼로 등 17종 제품을 평균 12% 인상한 바 있다.
업계선 고환율에 원가 압박이 커지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고환율 부담에 인건비 인상, 수입에 의존하는 일부 원료의 시세까지 오른 만큼 주요 생필품이나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가격 인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침대·가구 업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현대백화점그룹의 글로벌 가구·매트리스 업체 지누수는 이르면 이달부터 전 카테고리 제품 가격을 최대 30% 인상한다.
지누스가 고급화 전략 일환으로 론칭한 프리미엄급 매트리스 '시그니처 H1' 퀸사이즈는 종전 280만원에서 336만원으로 20% 인상된다. 라지킹사이즈는 종전 300만원에서 390만원으로 30% 오른다. 인상 시기는 2월 중이다.
일반 매트리스와 소파, 프레임 등 침실가구는 다음 달 5~15% 인상된다.
신세계까사는 작년 12월부터 전체 가구 제품 중 캄포, 마테라소, 루고 등 10개 시리즈를 제외한 800여개 제품 가격을 평균 3.5% 인상했다. 전 카테고리 대상 가격 인상은 2년 7개월 만이다.
기호식품부터 리빙까지 줄줄이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인상률을 최소화하고 여러 가지 효율화 작업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각종 비용 인상 요인이 많은 상황이라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