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8일 개최한 테크 컨퍼런스 NEMO 2023에서 (왼쪽부터)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AI 및 데이터 제품 담당 부사장,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이사 등 미래 모빌리티 및 AI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국내외 리더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언어모델의 핵심이 ‘개인화’와 ‘전문성’이라고 규정했다. B2B(기업 간 거래)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의 방향성과는 달리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로 승부를 보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국내 택시 호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는 모빌리티 사업에 자체 구축 AI를 더해 미래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을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8일 열린 ‘NEXT MOBILITY: NEMO 2023’에서 생성형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동안 구축해온 미래 사업인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에 AI 기반 기술을 고도화하고,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내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계획이다. 신규 엔진을 활용해 현재 운영 중인 AI 기반의 각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모빌리티 및 물류∙배송 AI 플러그인 구현도 도모한다. 또 국내·외 ▲여객 ▲물류 ▲서비스의 이동을 아우르는 모빌리티 AI 기술 생태계를 구축을 도모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구축하는 생성형 AI 엔진은 카카오가 연내 출시 목표로 개발 중인 초거대 AI ‘코GPT 2.0’과 별개다. 버티컬 서비스 적용이 아닌, 모빌리티 특화 자체 엔진을 이용한다는 구상이다.
카카오 서비스 중 코GPT 2.0이 버티컬 서비스로 적용될 핵심 영역은 카카오톡이다. 더불어 지난 3월 인수한 SM엔터테인먼트의 버츄얼 휴먼에도 초거대언어모델(LLM)을 접목할 예정이다.
카카오의 코GPT 2.0은 B2C 사업을 주 목표로 한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지난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카카오톡과 AI 접목은 비즈니스 영역에서 진행될 것이다. AI 접목으로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개인화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고 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AI 접목으로 개인화된 돼 카카오 서비스의 시나리오 ‘퍼스널 컨시어지’를 소개하기도 했다. 여행지 추천을 요청하면 날씨에 따른 유의사항부터 자녀 여부에 따른 숙박지 및 관광지 추천, 사진찍기 좋은 장소 등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더불어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톡, 카카오페이와 심리스로 연동해 카톡 대화 중 장소 추천부터 경로 안내, 결제까지 한 번에 이뤄지는 이동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한편, 네이버가 지난달 공개한 자체개발 LLM 하이퍼클로바X는 B2B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 대화형 AI 서비스인 클로바X는 아직 베타테스트 단계인 한편, 하이버클로바X는 출시 전부터 금융·게임·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업계와 협력을 다졌다. 타사 협력 뿐 아니라 자사 커머스 영역을 필두로 한 버티컬 서비스 적용도 핵심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빅테크 기업들은 자체 AI를 개발하며 맞춤형 전략을 동시에 모색하고 있다”며 “자사 핵심 서비스와 버티컬 전략을 취하는 등 경쟁력 구축에 시너지 효과를 불러일으킬 사업 구상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