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양재사옥./현대차그룹제공
현대·기아자동차가 기업문화 혁신을 위해 9월부터 새로운 인사제도를 시행한다. 새 인사제도는 '자율성' 및 '기회'의 확대를 통해 '일' 중심의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문화를 조성하고, 자기주도 성장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2일 현대·기아자동차에 따르면 새 인사제도는 직급과 호칭, 평가, 승진 등 인사 전반에 걸쳐 큰 폭으로 개편됐다. 우선 일반직 직급을 기존 직위와 연공중심의 6단계에서 역할에 따라 4단계로 단순화시켰다. 5급사원과 4급사원은 G1으로, 대리는 G2, 과장은 G3, 차장과 부장은 G4로 통합되며, 호칭은 더욱 단순화해 G1~G2는 '매니저', G3~G4는 '책임매니저' 2단계로 통합된다. 팀장, 파트장 등 보직자는 기존처럼 직책을 호칭으로 사용키로 했다.
회사는 직급과 호칭체계 변화를 통해 직원들이 연공이 아닌 업무 전문성을 바탕으로 일하고, 수직적인 위계구조가 개선돼 의사결정 속도와 업무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직원 평가방식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고 승진연차 제도는 폐지된다. 회사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변경한 이유가 평가 관점에서 벗어나 직원육성 관점의 성과관리와 상호협업 문화를 조성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상태평가체제에서는 불필요한 경쟁과 비율에 따른 평가등급 할당으로 평가왜곡현상이 불가피했으나, 절대 평가체제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절대평가 도입과 함께 과정에서 동료간 업무역량에 대해 코멘트할 수 있는 제도 등도 신설했다.
또한 상위 직급으로 승진하기 위해 필요한 연수인 승진연차를 폐지해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이 조기에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G3로 승진한 직원은 바로 다음해 G4 승진 대상자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직원 인사제도 개편은 직원 대상 설문조사와 설명회 등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전통적 제조업의 인사제도인 연공 중심, 수직적인 위계구조에서 탈피해 새 인사제도를 기반으로 일하는 방식과 의사결정 방식을 변화시켜 미래산업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민첩한 조직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 4월 일 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 촉진과 발탁인사 등 우수인재에게 성장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임원 인사제도를 개편한 바 있다. 기존 이사대우와 이사, 상무까지의 임원 직급 체계를 상무로 통합해 기존 사장 이하 6단계 직급을 4단계로 축소시켰다. 또한 연말에 실시되는 정기 임원인사도 경영환경 및 사업전략 변화와 연계한 연중 수시인사 체계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