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DB
부동산 재벌로 유명한 롯데·신세계의 주요 부동산 공시지가가 오르면서 이들이 올해 내야하는 종합부동산세도 크게 늘었다. 온라인 쇼핑몰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대형마트 등은 수익금이 줄고 있는 가운데 세금도 수익성 악화에 일조할 전망이다.
크게 오른 세금은 수익성 악화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작년보다 20% 이상 늘어나 올해 약 150억원 안팎의 종부세를 더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부세 과세기준일은 6월1일이다. 종합합산토지(전국합산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토지)를 소유한 법인은 과세기준일에 맞춰 2분기 회계장부에 종부세를 계상해야 한다. 실제 납입일은 하반기다.
신세계가 소유한 토지는 지난 3월말 기준 3조5570억원(장부가 기준)이다. 신세계는 주로 강남 요지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어 공시지가가 경쟁사보다 많이 올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부지의 공시지가(땅값)는 올해 ㎡당 2240만원이다. 이는 작년(2030만원)보다 10% 가량 오른 것이다.
신세계는 작년 약 670억원(연결 기준)의 세금과 공과금을 냈다. 종부세 상승을 감안하면 올해는 700억원이 넘는 돈을 세금으로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 해 벌어들인 영업이익(3970억원)의 약 18%가 세금으로 나가는 셈이다.
이마트도 올해 내야하는 종부세가 전년보다 약 1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트가 소유한 토지의 장부가는 3월말 기준 4조1980억원에 달한다.
이마트는 지난해 총 1930억원의 세금과 공과금을 냈다. 종부세 상승분을 포함하면 올해 이마트가 내야하는 세금과 공과금은 2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의 종부세도 전년보다 약 1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보다 약 10% 늘어난 것이다. 롯데쇼핑은 작년 1897억원의 세금과 공과금을 냈다. 이에 따라 롯데쇼핑도 올해 2000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와 신세계의 종부세가 다른 유통사보다 높은 이유는 그룹의 전략과 관련이 있다. 롯데와 신세계는 전략 점포의 사업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부동산을 대거 사들여 왔다.
해외 기업들은 매장을 직접 소유하지 않고 임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국내 유통업체들은 직접 소유 비중이 높다. 해외 업체들의 직접 소유 비중이 50% 내외인 수준인데 반해, 국내 업체들의 직접 소유 비중은 60%를 상회한다.
특히 신세계그룹은 다른 유통사에 비해 직접 건물을 소유하는 비중이 높다. 백화점은 58%, 이마트 83%, 트레이더스 86% 수준이다.
이런 구조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는 자산 가치가 확대돼 좋지만,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거나 정체되면 매장 매출이 하락할 때 자금에 부담이 생긴다.
특히 종부세가 100억원씩 오르면 기업의 영업실적에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유통업 환경이 좋지 않아 수익성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서다. 이마트는 1분기 74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는데,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다. 2분기에는 사상 첫 적자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마트의 2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70%나 감소한 160억원이 될 수 있다"며 "영업적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